728x90

안녕하십니까, 간토끼입니다.

 

오늘은 길벗 출판사에서 제공 받은 나만의 MCP 서버 만들기 with 커서 AI에 대한 서평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현재 카이스트에서 데이터 사이언스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대학원 입학 후 여러 연구를 하고 있는데, 현재 LLM을 활용한 AI Agent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AI Agent를 도시 시스템에 접목하는 연구를 하고 있고, 연구가 어느정도 진행이 돼서 논문도 작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 Agentic AI 라는 키워드가 핫해지면서 앤트로픽이 개발한 MCP(Model Context Protocol)가 AI 에이전트 기반 플랫폼에서 빠르게 채택되면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저도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는 키워드였고요.

 

그러한 이유로, 나름 전공자(?)의 관점에서 이 책을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전공 서적의 느낌보다는, 비전공자들이 쉽게 커서 AI 혹은 클로드 데스크톱에 MCP를 결합함으로써 본인의 업무에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분들에게 최적화된 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좀 더 상세히 서평을 작성해보겠습니다.


Q. 이 책은 어떤 책인가요?

이 책은 AI 에이전트와 MCP를 이해하고 본인의 업무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분들을 효과적으로 돕는 책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LLM 기반의 AI 시스템을 직접 설계하고 싶은 개발자나 MCP를 이해하고 다양한 에이전트를 연결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LLM 기반의 AI 에이전트를 좀 다뤄보신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기존의 Function calling 방식에서 어려움이나 한계를 느끼신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해요.

특히 랭체인(LangChain)으로 여러 개의 tool을 연결하고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설계하는 게 생각보다 어렵거든요.

각 tool의 입출력 명세를 설계하고 상태를 관리하는 복잡한 요소에 신경을 써야한다는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어려움은 비전공자들에게 더욱 크게 다가올 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그런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꼈고요.

 

그래서 이 책은 MCP 프로토콜을 커서(Cursor) AI와 클로드 데스크톱 등의 도구를 활용해 직접 구현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입문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 MCP 이해하기

- MCP 개념 이해하고 MCP 동작 방식 이해하기

2부. 실습 환경 준비하기

- API 키 획득 / 클로드 및 커서 준비하기

3부. MCP 실습하기

- 기존 Function Calling과 MCP 서버 비교하고 MCP 직접 사용해보기 (Cursor AI and Claude)

 

각 단계별로 차근차근 MCP의 개념을 알아보고, 환경을 구축하고, 직접 실습해보는 내용으로 구성돼있습니다.

 


Q. 그럼 누구에게 추천하는 책인가요?

이 책은 개인적으로 LLM 기반의 AI 에이전트가 도대체 무엇이고, 요즘 핫한 바이브 코딩 툴인 Cursor AI와 MCP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건지 궁금해하는 분들에게 적합한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전공 서적의 느낌을 기대하면 생각한 부분과 많이 다를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럼에도 비전공자들의 진입 장벽을 낮춰주는 데 의의가 있는 책이라고 생각해요.

 

사실 총 3부 중 2부의 내용이 실습 환경을 준비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정말 기초부터 알려주는 데 초점을 둔 책이라는 점에서, 어느 정도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분들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조금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타겟 독자가 다른 거니깐요.

이미 AI 에이전트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이라면 이 책이 아니더라도 MCP의 개념을 금방 이해하고 잘 활용하실 수 있겠죠.

다만 우리 모두 뭐든 처음이 어려운 법이잖아요? 비전공자들은 챗GPT를 활용하는 것부터 어려움을 겪거나 겁을 먹으시는 분들도 있으시더라고요.

그러한 관점에서 이 책은 정말 막연하게 느껴지지만 주변에서 워낙 많이 들리는 AI 에이전트, MCP ... 이런 낯설게 느껴지는 키워드를 좀 더 친근하게 만들어주는 데 의의가 있을 것 같습니다. 


Q. 이 책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이 책의 장점은 비전공자를 위한 입문서라는 점에서 알기 쉬운 설명이 충실히 담겨있다는 거라고 생각해요.

저자인 서지영님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Data & AI Specialist로 재직중이시고, 길벗 출판사에서 딥러닝 텐서플로 교과서 등 딥러닝 기술서적뿐만 아니라 최근 랭체인 & 랭그래프로 AI 에이전트 개발하기 등 좋은 책들을 많이 출판하신 경험이 있으시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책에 MCP에 대한 쉬운 부분과 어려운 부분을 같이 녹여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이 있지만, '누구나 커서와 클로드 데스크톱으로 MCP 서버를 쉽게 만들어볼 수 있다'에 초점을 둔 책이다보니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예시들을 통해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책입니다.

 

그리고 실습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도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비전공자들 입장에서는 복잡한 이론보다는 '그래서 어떻게 써먹어볼 수 있는 건데?' 라는 생각을 하기 마련이잖아요.

어떻게 보면 개발자들의 경우, '요즘 핫하다는 MCP 그거 그래서 어떻게 쓰는 건데?' 라는 생각으로 이 책을 읽게 될 수 있겠고요.

그러한 분들에게는 이 책은 즉시 전력감으로 활용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적절한 깊이로 이론도 알기 쉬운 설명으로 녹아져있고요.

 

사실 AI 에이전트에 대한 내용도 앞에서 풍부하게 소개가 되고, 자연스럽게 기존 방식과 대비해서 MCP의 개념으로 이어지는 구성이었으면 배경지식을 채우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란 생각이 들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AI 에이전트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면, 이 책과 더불어 '랭체인 & 랭그래프로 AI 에이전트 개발하기'와 같은 AI 에이전트 서적을 먼저 읽어보시고, 기존 방식의 장단점을 인지하신 후에 MCP에 대해 공부해보시면 더욱 업무에 적용하기 수월할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서평 마무리하겠습니다.

 

좋은 책을 읽게 해주신 길벗 출판사에 감사함을 전합니다.

 

감사합니다.

 


- 간토끼(DataLabbit)

- Master's student in Data Science, KAIST

- B.A. in Economics, Data Science, University of Seoul

 

728x90

+ Recent posts